미국 남북 전쟁의 개요
미국이 남과 북으로 나뉘어 4년간 치열하게 싸운 미국의 내전이다. 남북 전쟁이 시작되기 직전에 미 연방에 가입된 주는 전부 34개였다. 이 중 사우스 캐롤라이나를 시작으로 (1860년 12월 20일 탈퇴선언), 미시시피 (1861년 1월 9일), 플로리다 (1861년 1월 10일), 알라바마 (1861년 1월 11일), 조지아 (1861년 1월 19일), 루이지애나 (1861년 1월 1 26일), 텍사스 (1861년 2월 1일), 버지니아 (1861년 4월 18일), 아칸소 (1861년 5월 6일), 노스 캐롤라이나 (1861년 5월 20일), 테네시 (1861년 6월 8일) 순으로 11개 주가 미국 연방(USA _ United States of America)을 탈퇴하여 미국 남부 동맹 (CSA _Confederate States of America)이라는 새로운 정부를 만들었다. 버지니아 주 리치몬드를 수도로 정하고, 제퍼슨 데이비스를 대통령으로 선출하여 새 헌법을 제정하고 남부군을 결성하였다. 미국 연방에서 탈퇴하지 않은 나머지 23개 주들을 (네브래스카, 뉴욕, 뉴저지, 뉴햄프셔, 로드아일랜드, 매사추세츠, 메인, 미네소타, 미시간, 버몬트, 아이오와, 오레건, 오하이오, 위스콘신, 인디애나, 일리노이, 캔자스, 캘리포니아, 코네티컷, 콜로라도, 펜실베니아, 메릴랜드, 델라웨) 북부 동맹으로 이해하면 되는데 이들은 연방 정부의 방침을 지지하며 남부에 맞섰다. 시빌 워(The Civil War)라고 불리는 미국 남북 전쟁은 1861년 4월 12일 남부군의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찰스턴 항구 섬터 요새 공격으로 시작되어, 1865년 4월 9일 버지니아 주 애퍼매톡스 법원에서 남부군이 항복하며 종결되었다. 남북 전쟁동안 민간인과 군인을 합하여 약 62만에서 75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20세기에 발발한 주요 전쟁에서 사망한 미군은 1914년에 시작된 1차 대전에서 약 12만명, 1939년에 시작된 2차 대전에서 약 42만명, 1950년에 시작된 한국전쟁에서 약 3만 6천 명, 1975년에 끝난 베트남 전쟁에서 약 5천8명으로 추산되는데, 60여년간 사망한 58만 2천명보다 남북 전쟁에서 사망한 인원이 훨씬 더 많다. 남북 전쟁은 미국 역사상 가장 가슴 아픈 비극적 내전으로 엄청난 인적, 물적 피해를 남겼다.
원인
남북 전쟁의 원인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노예 제도, 주의 권리에 대한 견해 차이, 북부와 남부 간의 경제적 격차 등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되어 오랜시간 지속된 갈등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첫번째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잘 알려진 대로 노예제도에 대한 갈등 때문이었다. 미국 남부의 기후 특성상 90%가량이 목화와 같은 현금 작물 재배로 인해 노예 제도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현실적 문제로 남부에서는 노예제 폐지를 결사 반대했다. 반면 북부 주들은 노예 노동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며 산업화 경제로 발전하고 있었기 때문에 노예제도는 비인간적이고 부도덕한 제도라고 주장했고, 새로 영입되는 영토에서 노예제가 확대되는 것을 강력히 반대했다. 1846년부터 1848년까지 발생한 미국과 멕시코 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하여 영토가 두 배 가까이 확장되자, 새로운 영토에서의 노예제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 논쟁은 더욱 고조되었다. 노예제도에 관해 살펴보면, 대서양을 횡단하며 노예무역을 하던 선박 중 하나인 영국소속 화이트 라이온 배가, 1619년 항해 중 식량이 떨어져 버지니아 주 제임스 타운 영국 식민지에 도착했다. 그리고 이들이 필요한 식량과 물품을 20명의 아프리카 사람들과 교환한 것이 노예제도의 시작으로 기록되어 있다. 초기에는 급여를 받고 권리와 인격이 보장되는 계약직 하인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식민지 하인 제도의 성격은 아주 크게 변질되었다. 노예법 만들어 노예 개인의 권리와 보호를 박탈하며 재산으로 취급하였다. 노예와 노예의 자녀들은 노예 소유자의 상속 재산이 되어 노예 소유자 자녀에게 상속되었다. 그리고 노예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자녀는 아버지의 지위에 관계없이 아이도 노예가 되었다. 남북 전쟁의 또 다른 원인으로 주권에 대한 견해차이도 남북 전쟁의 이유가 되었다. 남부 주들은 연방법을 무효화할 수 있는, 연방법보다 더 큰 권한이 각 주에 있다고 주장했고, 북부는 연방 정부의 권위를 인정하고 강조했다. 경제적 격차도 남북 전쟁의 원인으로 자라 가고 있었다. 남부 주들은 농업 기반 경제를, 북부 주들은 산업 기반 경제를 가지고 있었는데 산업 기반 경제인 북부주가 남부주 보다 경제적으로 훨씬 부유했다. 이로 인한 정책적 입장과 견해 차이로 지역 갈등이 심화되었다. 노예제도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던 민주당은 남쪽에서 주를 이루었고, 북부에는 한결같이 노예제도를 반대하는 공화당이 주를 이루며 정치적 갈등의 골은 갈수록 깊어갔다.
과정
공화당을 창당한 아브라함 링컨이 1860년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노예제에 미칠 연방 차원의 제재를 우려한 남부 주들의 연방 탈퇴가 사우스 캐롤라이나를 시작으로 줄줄이 진행되었고, 남부 연합에 주둔하는 모든 연방군의 철수를 요구하였다. 1861년 사우스 캐롤라이나 섬터 요새에서 철군 요구를 거절한 연방군이 남부군의 공격을 당했고, 남부군의 지휘력과 유리한 전략으로 연방군은 섬터 요새 전투에 패했다. 섬터 요새 패배 후 링컨은 병력을 모집하여 육군을 동원해 철도 인근 지역을 공략하여 육지 보급로를 차단하고, 또 해군을 동원해 남부 해안 전역을 봉쇄하며 해상 보급로를 차단하였다. 이 전략을 일컬어 남부 경제를 몰락시키는 ‘아나콘다 작전’이라고 불렀다. 북부는 이미 발달된 산업 시스템으로 전쟁 물자와 지원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용이했다. 반면 남부는 북부의 아나콘다 작전 성공으로 경제가 어려워졌으나, 영국의 ‘봉쇄 돌파선’이라는 배가 북부의 봉쇄구역을 뚫고 들어왔다. 남부 동맹은 영국 봉새 돌파선을 통해 전쟁물자를 공급받고, 함선 건조를 지원받으며, 면화와 담배를 수출까지할 수 있었다. 전쟁 초반에는 대부분의 전투가 버지니아에서 치러졌는데 남부군이 우세했다. 버지니아 주에서 남부군의 승리가 계속 되고 동부 전선에서 남부군과 연방군의 교착상태가 이어지고 있던 때에, 서부에서는 북부 연방군의 선전이 계속되었다. 테네시, 켄터키, 미시시피 주에서 남부군은 밀려나기 시작했고, 미시시피 강을 장악한 연방군에 의해 보급로를 완전히 차단당하고 말았다. 전쟁은 서서히 북부에게 유리하게 진전되었다. 1863년 7월 1일부터 3일까지 남북전쟁의 결정적 전투가 펜실베니아 게티즈버그에서 일어났다. 북부 연방군의 조지 미드 장군이 강력하게 구축해 둔 진지를 점령하려는 남부의 로버트 리 장군 군대가 사방이 뚫린 게티즈버그 평야지대를 가로지르다 북군의 집중 폭격을 받아 약 1만 5천 명의 남부군이 몰살당하고 퇴각하게 되었다. 게티즈버그의 참패로 남부군은 서서히 약해지기 시작했고, 1864년 11월에 북부의 셔먼 장군이 남부에 진입하여 경제기반을 파괴하며 남부의 사기를 더욱 저하시켰다. 1865년 4월 9일, 남부 로버트 리 장군이 북부 총 사령관 율리시스 그랜트 장군 앞에서 애퍼매톡스 법원 항복 계약에 서명하며 어느 때보다 슬프고 길었던 4년의 남북전쟁은 종식되었다.
결과
남북전쟁은 노예해방으로 상징되고, 미국 역사에 결정적 변화를 불러왔다. 남북 전쟁의 가장 큰 결과는 무엇보다 공식적으로 노예제가 폐지된 것이다. 이로 인해 미국은 민주주의와 인권의 소중함을 실현하는 국가임을 세계에 입증했다. 남북 전쟁의 또 다른 결과는 미국 내에서 권력 분배와 통치과정에 있어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개별 주 정부로 분산되어 있던 권력이 연방 정부로 통합되고 집중됐다. 국가 전체에 대한 연방 정부의 통제와 영향력이 더욱 강화되고 중앙 집권화되어 국가 차원에서 보다 일관된 정책과 규제를 요구하여 주 전체에 통일성 있게 적용되게 되었다. 다음으로 남북 전쟁의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결과는 전쟁 이후 북부는 산업이 급속도로 진행되어 미국 산업혁명을 촉진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부는 농장 운영 붕괴를 포함하여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경제적 극명한 격차는 지역 간 감정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로 인해 남부에서 백인 우월주의 조직인 KKK가 1865년에 등장했다. 이 조직은 해방된 노예들의 권리를 억압하기 위해 위협, 폭력, 테러를 사용했다. KKK는 남북전쟁 이후 남부에서 인종 폭력을 지속시키고 백인 우월주의를 강화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정치적, 사회적 이익을 억압하고 미국 남부에 공포와 차별 분위기를 조장하는 것이었다. 미국 남부전쟁의 국제적 결과로는 전쟁 시 중립을 위반한 국가에 대한 국제 사회의 입장이 명확해졌다는 것이다. 남부군에게 전쟁물자를 보급하고, 함선 건조를 도운 혐의로 영국은 1871년 스위스에서 열린 제네바 중재에 기소되었다. 1872년 국제 재판의 판결로 중립 의무를 위반한 영국은 미국에 $1,550만 달러의 손해 배상금을 지급하게 되었다.